본문 바로가기

파이썬/데이터베이스

(2)
[DB python] - Base64, 인코딩, 디코딩 Base64 64진법이라는 뜻으로, 컴퓨터 분야에서 쓰이는 Base64는 8비트 이진 데이터를 문자 콛크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 영역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진 문자열로 바꾸는 인코딩 방식이다. 먼저 24bit의 buffer를 생성하여 위쪽부터 바이트 데이터를 넣은 뒤, 버퍼의 위쪽부터 6bit 단위로 잘라 Base64 테이블의 ASCII 문자로 변환한다. 원본 문자열 -> ASCII binary -> 6bit씩 Cut -> Base64 encoding - 위 과정대로 인코딩을 하게 되면 6bit 당 2bit 의 Overhead가 발생하여 전송해야 될 데이터 크기의 33%가 늘어난다. 그러나 통신과정에서 바이너리 데이터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인코딩(encoding) - 인코딩은 파일에 저장된 ..
[Database] - DDL 12. 수강신청한 학생들의 과목수와 총학점수를 출력하는 SQL문을 작성합니다. 13. 김한나 학생이 수강신청한 국어를 수강신청에서 제외하려고 합니다. 국어를 수강신청에서 제외하는 SQL문을 작성하고 실행합니다. 14. 수강을 신청한 학생들은 이번학기에 등록을 한 학생들입니다. 이들 학생들의 학기를 1씩 증가시켜주는 SQL문을 작성해서 실행합니다. 15. 동국대에서는 수강신청 인원이 5명 미만인 수업은 폐강을 합니다. 5명 미만인 수업들에 대해서 삭제하는 SQL문을 작성해보세요. 12. select st.name as 이름, count(*) as 과목수, sum(co.unit) as 학점 -> from student st, register re, course co -> where st.id = re.st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