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데이터베이스

[DB python] - Base64, 인코딩, 디코딩

반응형

Base64

64진법이라는 뜻으로, 컴퓨터 분야에서 쓰이는 Base64는 8비트 이진 데이터를 문자 콛크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 영역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진 문자열로 바꾸는 인코딩 방식이다. 

 

먼저 24bit의 buffer를 생성하여 위쪽부터 바이트 데이터를 넣은 뒤, 버퍼의 위쪽부터 6bit 단위로 잘라 Base64 테이블의 ASCII 문자로 변환한다. 

 

원본 문자열 -> ASCII binary -> 6bit씩 Cut -> Base64 encoding 

 

- 위 과정대로 인코딩을 하게 되면 6bit 당 2bit 의 Overhead가 발생하여 전송해야 될 데이터 크기의 33%가 늘어난다. 

그러나 통신과정에서 바이너리 데이터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인코딩(encoding)

- 인코딩은 파일에 저장된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변환하는 처리 혹은 그 방식을 말한다. 데이터 표준, 보안, 처리 속도 향상, 공간 절약을 할 수 있다. 이메일이나 동영상, 이미지를 다루는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며 디코딩(decoding)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디코딩(decoding)

반응형

'파이썬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 DDL  (0)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