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기능이 결합되어 있는 네트워크는 여러 계층(Layer)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은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 전 세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해외 웹 사이트도 볼 수 있다.
웹 브라우저에는 사진과 문자를 보여 주기 위해 필요한 규칙이 있다. 이는 패킷을 사용한다.
*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네트워크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는다
* 대역폭(bandwidth) : 단위 시간당 전송량(최대 전송 속도)
패킷을 보낼 때는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낸다. 그에 맞춰 정렬하면 되니까 늦게 도착한 패킷도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8bit = 1byte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인 랜(LAN)과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인 왠(WAN)
* 랜(LAN) :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사무실)
* 왠(WAN) : 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지역 간 통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 KT, U+, SK Broadband
Q. 랜은 왠보다 범위가 좁고 속도가 빠르며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다는데. 여기서 말하는 오류를 바라보는 시점에 대해 논의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결정해야 할 요인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인터넷 회선(광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 공유기라는 장비가 필요하다.
* 인터넷 공유기(boradband router) : 가정용으로 라우터의 기능 뿐 아니라 허브, 스위칭 허브, 방화벽과 같은 다양한 기능 제공
소규모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소호기업 (SHOHO : Small Office/Home Office) : 소규모 회사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 회사에서의 랜 네트워크의 다른 점은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는 점이다.
* DMZ = DeMilitarized Zone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려면 웹 서버를 공개, 메일을 주고 받으려면 메일 서버를 공개, 외부에서 회사 서버에 접속하려면 DNS 서버 공개
Q. 스위치의 역할
회사에서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를 1. 사내에 설치하거나 2. 데이터센터에 두거나 3. 클라우드에 둔다.
* 데이터센터 :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한 전용 시설
* 클라우드 : 인터넷에 접속만 되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든 이용 가능하다.
1. 사내 설치 : 회사 내에 서버 장비실으 두고 랙(선반) 설치
* 온프레미스(on-premise) :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 (클라우드 반대)
랙 안에는 랙에 설치하기 적합한 크기를 가진 서버와 라우터, 스위치를 설치한다. (보통 무선 랜 사용)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 랜 기능을 사용하여 사내랜에 접속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기초] 4장 (0) | 2020.07.12 |
---|---|
[네트워크 기초] 3장 (0) | 2020.07.12 |
[모두의 네트워크] 2장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