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크루스칼 알고리즘 -> 그리디
위상 정렬 알고리즘 -> 큐, 스택 자료구조
노드와 노드 사이에 연결된 간선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
노드의 개수 V
간선의 개수 E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은 인접 행렬을 이용하는 방식
! 노드의 개수가 적은 경우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이용
! 노드와 간선의 개수가 모두 많으면 우선순위 큐를 이용하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이용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
union-find 자료구조
[신장 트리(Spanning Tree)]
하나의 그래프가 있을 때 모든 노드를 포함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그래프
모든 노드가 포함되어 서로 연결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조건은 트리의 성립 조건
[크루스칼 알고리즘]
최소한의 비용으로 신장 트리를 찾는 경우
최소 신장 트리 알고리즘
모든 간선에 대하여 정렬을 수행한 뒤에 가장 거리가 짧은 간선부터 집합에 포함
반응형
'코딩 테스트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파이썬]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 (0) | 2021.12.21 |
---|---|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 JAVA (0) | 2021.12.21 |
[알고리즘 파이썬] DFS/BFS (0) | 2021.02.24 |
[알고리즘 파이썬] sort(), sorted() 차이 (0) | 2021.02.13 |
[알고리즘 파이썬]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 2021.02.08 |